라벨이 돈 관리인 게시물 표시

사회초년생 기초지식 재테크 금융용어 10가지 – 조카에게 해준 현실 조언

이미지
  취업 후 첫 월급을 받으면 누구나 들뜨기 마련이죠. 제 조카도 얼마 전 첫 직장을 얻고 "이모, 이제 돈도 벌고 적금도 넣어야 할 것 같은데,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해?"라며 저에게 물었습니다. 사실 저도 사회초년생 시절엔 금융용어 하나하나가 낯설어서 헤맸던 기억이 있어요.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조카에게 설명해줬던 사회초년생이 꼭 알아야 할 기초 재테크 금융용어 10가지 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예금과 적금 예금 : 목돈을 한 번에 은행에 넣어두고 이자를 받는 상품. 적금 : 매달 일정 금액을 꾸준히 넣는 상품. 👉 조카한테는 "예금은 한 번에 크게, 적금은 꾸준히 작게"라고 외우라고 했습니다. 2. 복리 이자가 원금에 더해져 그 다음 이자에도 이자가 붙는 개념. 예를 들어 100만 원을 연 5% 복리로 넣으면, 단순 계산으론 105만 원이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눈덩이처럼 불어납니다. 👉 제가 대학 때 단리와 복리를 헷갈려 손해 본 적이 있어서 꼭 강조했죠. 3. 신용점수 카드값, 대출 상환 등을 얼마나 잘 관리했는지 보여주는 점수. 사회초년생 시절부터 카드 연체 없이 관리 하는 게 중요합니다. 신용점수는 곧 자산 관리의 기본 체력과도 같아요. 4. 금리 돈을 빌리거나 맡겼을 때 붙는 이자 비율. 대출금리: 빌린 사람이 내야 할 비용 예금금리: 맡긴 사람이 받는 수익 👉 조카가 대출을 쉽게 생각하길래, "금리 1% 차이도 수십만 원이 달라진다"고 알려줬습니다. 5. 원리금 균등상환 대출을 갚는 방식 중 하나. 원금과 이자를 합쳐 매달 비슷한 금액을 내는 방법입니다. 처음엔 이자 비중이 크지만, 점점 원금 상환 비율이 높아져 부담이 줄어듭니다. 6. ETF (상장지수펀드) 주식과 펀드를 합쳐 놓은 듯한 투자 상품. 소액으로도 다양한 종목에 분산 투자할 수 있어 초보자가 배우기 좋습니다. 👉 조카에게는 “ETF는 작은 돈으로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