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은행 선택인 게시물 표시

금융상식 : 1,2,3 금융권의 차이와 주거래 은행 사용법

이미지
사회 초년생인 조카와 이런저런 저축이나 소비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다 보니 문득 금융기관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도 알아둘 필요가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차이를 알아두면 경제 활동에 도움이 될 것 같아 공유해 봅니다.   1금융권, 2금융권, 3금융권의 차이점 은 은행법 적용 여부, 취급 상품, 금리 및 안정성에서 비롯됩니다. 공식적인 분류 명칭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금융기관의 성격을 구분하는 데 사용됩니다. 1금융권 : 은행법의 적용 을 받는 시중은행, 지방은행, 특수은행, 인터넷전문은행 등을 말합니다. 예금과 대출, 외환 등 종합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정부의 엄격한 규제를 받아 안정성이 가장 높습니다 . 예금자 보호법에 따라 1인당 5,000만 원까지 예금을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대신 예금 금리가 낮고, 대출 심사 조건이 까다롭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2금융권 : 은행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 금융기관으로, 저축은행, 증권사, 보험사, 신용협동조합, 새마을금고 등이 포함됩니다. 특정 금융 서비스 에 집중하며, 1금융권보다 규제가 덜해 대출 절차가 간편하고 신용도가 낮은 사람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금 및 대출 금리가 1금융권보다 높은 편이지만, 저축은행도 예금자 보호법에 의해 5,000만 원까지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3금융권 : 금융 제도권에 속하지 않는 **사금융(대부업체)**을 말합니다. 1·2금융권에서 대출이 어려운 사람들이 주로 이용하며, 대출 금리가 매우 높고 제도적 보호가 취약해 주의해야 합니다. 주거래 은행 선정 및 활용법 주거래 은행 은 급여 이체, 공과금 자동 납부 등 주요 금융 거래를 집중시키는 은행을 말합니다. 거래 실적에 따라 등급이 올라가면서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장기적으로 유리합니다. 주거래 은행의 혜택 각종 수수료 면제/우대 : ATM 출금, 이체, 통장 재발급, 증명서 발급 수수료 등을 면제받거나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예적금 추가 금리 우대 : 급여 이체 등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