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30, 2025의 게시물 표시

바텀즈: 십대의 성(性)과 정체성을 다룬 신선한 시선

이미지
2023년 개봉한 미국 인디 영화 <바텀즈(Bottoms)>는 한마디로 ‘정형화된 하이틴 장르에 주먹을 날린’ 작품입니다. 기존 십대 영화에서 볼 수 없었던 급진적이고 대담한 서사, 그리고 성소수자 주인공이 중심이 되는 스토리라인은 이 작품을 단순한 틴 코미디가 아닌, 사회적 선언으로 만들어냅니다. 이 글에서는 <바텀즈>가 어떻게 하이틴 장르를 새롭게 재해석하며, 성(性)과 정체성에 대한 시선을 확장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클리셰를 비틀다: ‘싸움 동아리’를 연 레즈비언 주인공들 영화는 레즈비언인 두 명의 고등학생 PJ와 조시(레이첼 세노트, 아요 에데비리 분)가 학교에서 인기가 없고, 성적 관계도 없다는 이유로 주변으로부터 철저히 외면당하면서 시작됩니다. 이들은 ‘여성 자기방어 클럽’을 가장한 ‘싸움 동아리’를 만들어 학교 내 인기 있는 여학생들에게 접근하려 합니다. 줄거리만 보면 터무니없고 과장된 코미디처럼 보이지만, 이 영화는 그 과장된 설정 안에서 ‘하이틴 영화의 규칙’을 정면으로 비틀며 새로운 감수성을 전달합니다. 이성애 중심의 사랑 이야기, 잘생긴 남자 주인공, 미식축구 경기와 프롬 파티로 대표되는 미국 고등학교의 고정 틀을 뒤엎고, 진짜 10대들이 고민하는 성적 정체성과 소속감, 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다채롭게 펼쳐냅니다. 십대의 욕망을 숨기지 않는 솔직함 <바텀즈>의 가장 큰 미덕 중 하나는 ‘10대의 성적 욕망’을 숨기지 않고, 있는 그대로 다룬다는 점입니다. PJ와 조시는 여느 십대처럼 누군가와 연결되고 싶고, 욕망을 느끼며, 사회적 위치에서 벗어나고 싶어 합니다. 하지만 이들이 처한 사회적 현실은, 성소수자라는 이유로 ‘바텀(bottom, 사회적 최하층)’에 놓인다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이 영화는 그 위치를 자조하거나 피해자로 소비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PJ와 조시는 자기 방식으로 세계를 재정의하고, ‘바텀’이라는 말조차 스스로의 정체성으로 끌어안으며 유쾌하게 반격합니다. 10대의 욕망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