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거래소인 게시물 표시

HTS, MTS, 거래소, 장외시장의 의미와 차이 총정리!

이미지
  "주식은 HTS나 MTS로 사는 거 아닌가요?" 맞아요, 보통은 그렇죠. 그런데 혹시  HTS와 거래소의 차이점 을 정확히 알고 계세요? 솔직히 저도 처음에는 많이 헷갈렸거든요. 'HTS, MTS, 거래소, 장외시장... 뭘 말하는거지?' 알고 보니 전혀 다른 개념이더라고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주식 거래라고 하면 하나의 행위로만 생각하는데요. 사실은  '어디서' 거래하고 '무엇으로' 거래하는지 에 따라 용어가 달라지는 거였어요. 오늘 이 글만 보시면  주식 거래의 큰 그림 이 한눈에 들어오실 거예요. 함께 알아볼까요?                 🚀 '거래소'와 '장외시장'의 차이: 주식이 거래되는 '장소' 가장 먼저, 주식이 거래되는  시장 자체 를 이해하는 게 중요해요. 주식 시장은 크게  '거래소'와 '장외시장' 으로 나뉩니다. 증권거래소 (Exchange) 우리나라의 코스피, 코스닥이 바로 여기에 속해요. 기업들이 상장하려면 재무, 사업성 등  까다로운 심사 를 거쳐야 하죠. 그만큼 투자자 보호를 위한 규제가 엄격하고 투명성이 높아요. 안정성과 높은 유동성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 투자 핵심 포인트 증권거래소는 가장 안전하고 투명한 시장이에요. 엄격한 상장 심사와 공시 의무 덕분에 정보 접근성이 뛰어나고 안전하게 거래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장외시장 (Over-The-Counter, OTC) 말 그대로 '거래소 밖'에서 거래가 이루어지는 시장이에요. 비상장 주식 이나 거래소 상장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기업들의 주식이 거래되는 경우가 많죠. 우리나라에는 금융투자협회가 운영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