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페이버릿: 권력과 여성 관계의 심리전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의 2018년 영화 더 페이버릿은 전형적인 시대극과는 거리가 멉니다. 18세기 초 영국 왕실의 화려한 궁정을 배경으로 하지만, 전통적으로 미화된 왕실 이미지를 대신해, 영화는 날카롭게 조명된 조작, 야망, 그리고 정치 권력의 그림자 속에서 펼쳐지는 여성 관계의 변화를 탐구합니다. 올리비아 콜먼이 연기한 앤 여왕의 아카데미상 수상 연기와, 레이첼 와이즈, 엠마 스톤의 강렬한 연기는 개인적 유대와 정치적 영향력이 어떻게 얽히는지를 섬세하게 보여줍니다.
이 작품은 단순히 누가 왕관을 쓰는지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라, 누가 진정한 통제권을 쥐고 있는지, 그리고 그 대가가 무엇인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정치와 개인의 배경
영화의 무대는 신체적으로 허약하고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앤 여왕의 통치 시기입니다. 영국은 프랑스와의 값비싼 전쟁에 휘말려 있었고, 정치 세력들은 여왕의 총애를 얻기 위해 경쟁합니다. 그러나 실제 전장은 전쟁터가 아니라, 여왕의 사적인 공간에서 펼쳐집니다. 사라 처칠(말버러 공작부인)과 애비게일 힐, 두 여성과의 관계가 국가 정치의 흐름을 바꾸어 나갑니다.
더 페이버릿에서 개인적 관계는 정치적 화폐와 같습니다. 애정, 신뢰, 충성은 무기처럼 거래되며, 여왕의 관심은 궁극적인 보상입니다. 이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은 치열합니다.
권력은 친밀함, 친밀함은 권력
이 영화가 특히 매력적인 이유는 권력을 친밀한 교환으로 묘사한다는 점입니다. 사라는 오랜 충성심, 직설적인 솔직함, 그리고 깊은 정서적 유대감을 바탕으로 여왕에게 영향력을 행사합니다. 반면 애비게일은 매력, 계산된 연약함, 전략적 조작을 통해 여왕의 신뢰를 얻습니다.
사라와 애비게일의 심리전은 단순히 누가 여왕의 ‘총애’를 받을지가 아니라, 생존, 사회적 상승, 통제권을 두고 벌이는 싸움입니다. 이들의 전장은 여왕의 감정 세계이며, 모든 몸짓, 모든 말, 모든 시선이 게임의 한 수입니다.
권력 투쟁 속 취약성의 역할
앤 여왕의 병약함과 개인적 불안은 그녀를 동시에 강하게도, 또 취약하게도 만듭니다. 여왕은 정치적 특권을 부여하고 국가 정책을 결정할 수 있지만, 정서적 위안을 절실히 필요로 합니다. 사라와 애비게일은 이를 잘 이해하고 있었고,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이용했습니다.
이 관계는 전통적인 권력 묘사에서 종종 간과되는 진실을 보여줍니다. 취약성은 양날의 검과 같아서, 지도자를 더 인간적이고 자비롭게 만들 수 있지만 동시에 조종의 대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야망의 대가
사라는 처음에는 더 원칙적인 인물처럼 보이지만, 그녀 역시 야망이 있습니다. 여왕과 국가를 위해 자신이 무엇이 최선인지 안다고 믿으며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합니다. 반면 애비게일의 상승은 빈곤에서 벗어나고 사회적 지위를 회복하려는 절박함에서 비롯됩니다.
두 여성 모두 야망의 대가를 치릅니다. 사라는 몰락과 함께 한때 손쉽게 누리던 권력을 잃습니다. 애비게일은 목표를 달성하지만, 여왕의 변덕스러운 성격에 묶인 황금 감옥에 갇히게 됩니다. 영화의 결말은 깔끔한 승자를 제시하지 않고, 두 여성 중 누가 진정으로 ‘이겼는지’를 의문으로 남깁니다.
오늘날에도 울림이 있는 이유
이 영화는 300년 전을 배경으로 하지만, 주제는 놀라울 만큼 현대적입니다. 정치적 목적을 위한 관계 조작, 개인적 충성과 공적 의무의 경계 흐림, 여성 간의 심리적 경쟁의 복잡성은 오늘날 직장, 정치, 심지어 SNS 관계에서도 반복됩니다.
또한 이 영화는 역사 속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에 도전합니다. 수동적인 배경 인물이 아니라, 사라와 애비게일은 정치적 결과를 직접 만들어내는 주체로 등장합니다. 그들의 도구는 군사적이거나 입법적이지 않고, 미묘하고 개인적인 방식이지만 그 영향력은 강력합니다.
권력과 관계에 대한 교훈
- 영향력은 신뢰 위에 세워지지만, 신뢰는 무기로 변할 수 있다.
- 한계를 잃은 야망은 스스로를 파괴한다.
- 리더십에서의 취약성은 신중히 다뤄야 한다.
- 심리적 통찰은 공식적인 권위만큼 강력하다.
이 영화의 뛰어남은 어느 한 여성을 영웅, 다른 여성을 악인으로 단정하지 않는 데 있습니다. 대신, 권력이 어떻게 가장 선의적인 관계조차도 부패시킬 수 있는지를 도덕적 모호성의 스펙트럼 속에서 보여줍니다.
더 페이버릿은 블랙 유머, 날카로운 현실성, 심리적 긴장을 절묘하게 섞어낸 이야기의 교과서입니다. 높은 이해관계 속에서 관계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지, 그리고 사랑과 우정조차도 통제의 도구가 될 수 있다는 불편한 진실을 직시하게 합니다.
결국 영화는 우리에게 질문을 던집니다. 권력과 애정이 얽혀 있을 때, 진정한 충성심이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아니면 그것은 항상 심리전의 일부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