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터널스: 마블 팬들이 아쉬워했던 3가지 장면
마블의 이터널스(Eternals)는 오스카 수상 감독 클로이 자오가 연출을 맡아, MCU의 세계관을 신화와 우주적 스케일로 확장하려는 야심찬 작품이었습니다. 하지만 그 웅장함과 시각적 아름다움에도 불구하고, 많은 마블 팬들에게는 다소 실망스러운 영화로 남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터널스에서 마블 팬들이 특히 아쉬워했던 세 가지 장면을 짚어보며, 왜 실망을 안겼는지, 어떻게 달라질 수 있었는지를 분석해봅니다.
1. 감정이 결여된 셀레스티얼 갈등
이터널스의 가장 큰 기대 포인트 중 하나는 셀레스티얼(Celestials)의 등장입니다. 이 신적인 존재들은 우주의 구조를 형성하며, 마블 세계관의 핵심 축을 담당할 수 있는 존재들이었죠. 하지만 결과적으로는:
- 아리셈(Arishem)의 등장 장면이 대부분 설명 위주로 제한되었고,
- 이터널스와 셀레스티얼 간의 갈등은 긴장감이나 감정적 무게감이 부족했으며,
- '에머전스(Emergence)'라는 세계 종말급 이벤트가 지나치게 빠르게 전개되어 큰 인상을 주지 못했습니다.
셀레스티얼 신화는 더 깊게 탐험될 수 있었으나, 대부분이 설명으로 대체되며 몰입감을 떨어뜨렸습니다. 뚜렷한 악당이나 드라마틱한 전환이 부족했던 점도 많은 팬들의 아쉬움으로 남았습니다.
2. 존재감 부족한 데비언트 악당들
예고편 속 데비언트(Deviants)는 공포스럽고 변형이 가능한 위협으로 보였습니다. 그러나 본편에서는:
- 이들의 동기나 목적이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 리더격인 크로(Kro)는 대사도 적고 성격도 제대로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 데비언트와의 전투는 반복적이고 긴장감이 떨어졌습니다.
특히 크로가 지능을 얻고 복수를 다짐하는 과정은 이터널스의 도덕적 고민과 평행을 이룰 수 있는 기회였지만, 너무 허무하게 처리되어 팬들로부터 "굳이 넣을 필요 있었나?"라는 반응을 이끌었습니다.
3. 부족했던 캐릭터 간 케미와 감정 몰입
한 번에 10명의 신규 히어로를 소개한다는 것은 큰 도전이었고, 이터널스는 이 과제에서 아쉽게도 성공적이지 못했습니다.
- 세르시와 이카리스의 로맨스는 얕고 설득력이 부족했습니다.
- 마카리, 드루이그, 길가메시 같은 캐릭터들은 잠깐 반짝였지만 전반적인 비중은 적었습니다.
- 팀워크나 유대감이 충분히 쌓이지 않아 갈등이나 재회 장면의 감정적 파급력이 낮았습니다.
어벤져스나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처럼 긴밀하게 연결된 팀 다이나믹에 익숙한 팬들에게, 이터널스 팀은 감정적으로 너무 낯선 존재로 느껴졌습니다.
무엇이 문제였고, 어떻게 달라질 수 있었을까
그렇다면 이터널스는 왜 팬들의 기대를 만족시키지 못했을까요?
- 서사의 흐름이 일정치 못했고, 설명, 회상, 액션 사이의 균형이 부족했습니다.
- 기존 마블의 톤과는 다른 진지하고 철학적인 접근은 일부에게 신선했지만, 다수 팬에게는 거리감을 주었습니다.
- 너무 많은 내용을 하나의 영화에 담으려다 보니, 감정선과 설정 모두 얕게 다뤄졌습니다.
이 이야기가 영화가 아닌 시리즈 형태로 구성되었다면, 캐릭터와 세계관 모두 더 풍부하게 풀어낼 수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분열적 평가 속에서도 주목할 점은 있다
비록 아쉬운 점이 많았지만, 이터널스의 시도는 분명 용기 있었습니다. 이 작품은 자유의지, 창조, 도덕적 책임 같은 주제를 다루며, 일반적인 슈퍼히어로 영화에서는 보기 드문 깊이를 추구했습니다. 다양한 인종과 배경의 캐스팅, 압도적인 비주얼, 철학적 질문들은 기존 마블 공식에서 벗어난 특별한 경험을 원하는 관객에게는 매력적일 수 있습니다.